-
- 08.13
-
(대통령령 제30040호)(법무부령 제956호)
명칭 변경
- 법무부 공안기획과 → 공공형사과
- 법무연수원 용인분원 대외연수과 → 법무교육과
-
- 05.07
-
(대통령령 제29733호)(법무부령 제950호)
기구 신설 : 법무부 기획조정실에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신설
-
- 02.26
-
(대통령령 제29569호)(법무부령 제946호)
기구 신설 : 청주소년원 의무과, 대구출입국·외국인사무소 조사과 신설
-
- 05.10
-
(대통령령 제28870호)(법무부령 제926호)
명칭변경
- 19개 출입국관리사무소 -> 6개 출입국·외국인청, 13개 출입국·외국인사무소
-
- 03.30
-
(대통령령 제28736호)(법무부령 제921호)
기구 신설 : 부산보호관찰소 서부지소 신설
-
- 10.31
-
(대통령령 제28402호)(법무부령 제910호)
기구 신설 :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심사2국, 입국재심2과, 심사13과, 심사14과, 심사15과 신설
-
- 06.20
-
(대통령령 제28118호)(법무부령 제903호)
명칭변경
- 성동구치소 -> 서울동부구치소
-
- 10.11
-
(대통령령 제27540호)(법무법령 제877호)
- 기구신설 :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신설,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보안관리과 신설
-
- 09.05
-
(대통령령 제27483호)(법무부령 제873호)
- 기구신설 : 교정본부 심리치료과, 서울지방교정청 분류센터 신설
- 하부조직개편 : 서울‧대구‧대전‧광주지방교정청 의료분류과, 직업훈련과 폐지
-
- 05.10
-
(대통령령 제27134호)(법무부령 제867호)
- 기구 신설 :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국적·난민과→국적과와 난민과로 분리, 부산출입국관리사무소 김해출장소 신설
- 명칭 변경 : 김해출입국관리사무소→김해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, 김포출입국관리사무소→김포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
-
- 02.29
-
(대통령령 제27001호) (법무부령 제863호)
- 기구 신설 : 부산소년원 부산청소년비행예방센터 교육지원과·교육운영과, 대전·대구보호관찰소 특정범죄자관리과 신설
-
- 12.30
-
(대통령령 제26782호)(법무부령 제860호)
- 기구 신설 :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전자비자센터 신설
- 명칭 변경 : 수원출입국 평택출장소→수원출입국 평택항만출장소, 수원출입국 오산출장소→수원출입국 평택출장소
-
- 05.26
-
(대통령령 제26263호) (법무부령 제843호)
- 기구 신설 : 범죄예방정책국 특정범죄자관리과 신설부산출입국관리사무소 이민특수조사대 신설
-
- 02.26
-
(대통령령 제26117호)(법무부령 제839호)
- 기구 신설 : 법무연수원 용인분원(운영지원과, 대외연수과) 신설
- 하부조직 개편 : 법무연수원 기획부 연구개발팀 폐지, 법무연수원 교정연수부 운영과→교정훈련과,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 보호과→사범과
-
- 01.06
-
(대통령령 제25973호)(법무부령 제834호)
- 하부조직 개편 : 청주출입국관리사무소 심사과 신설
- 기관 신설 : 대전출입국 당진출장소, 광주출입국 무안공항출장소 신설
-
- 08.27
-
(대통령령 제25565호)(법무부령 제824호)
- 하부조직 개편 : 서울·부산·광주보호관찰소 특정범죄자 관리과 신설
- 기관 신설 : 서울소년분류심사원 수원청소년비행예방센터, 부산소년원 부산동부·울산청소년비행예방센터
-
- 11.05
-
(대통령령 제24829호) (법무부령 제801호)
기관 신설 : 정읍교도소, 상주교도소
-
- 09.17
-
(대통령령 제24732호)(법무부령 제800호)
- 하부조직 개편 : 행정관리담당관→창조행정담당관(명칭변경)인권국 여성아동인권과 신설
- 기관 신설 : 광주소년원 순천청소년비행예방센터, 전주소년원 전주청소년비행예방센터, 춘천소년원 춘천청소년비행예방센터 신설, 출입국·외국인지원센터 신설(´13.11.1.시행)
-
- 05.22
-
(대통령령 제24537호)(법무부령 제794호)
- 하부조직개편 : 출입국·외국인정책본부 국적·난민과→국적과와 난민과 분리,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사증과, 보호과 폐지, 조사1과, 조사2과→조사과
- 기관 신설 : 서울남부출입국관리사무소(관리과, 사범과, 조사과)
-
- 03.23
-
(대통령령 제24415호)(법무부령 제787호)
- 명칭변경 : 기획조정관, 비상계획관→정책기획관, 비상안전기획관
- 팀 폐지 : 성과고객팀→행정관리담당관실로 통폐합, 정보팀→폐지 후 이민정보과 신설,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심사국(하부조직 포함) 폐지 및 총무과, 사범과, 사증과, 조사1과, 조사2과, 보호과 신설
-
- 06.19
-
(대통령령 제23857호) (법무부령 제776호)
- 인력증원 : 제주공항 심사인력 10명(6급 1, 7급 5, 8급 4)증원 (8급 5명은 시간제계약직공무원으로 대체) - 소속기관 과장급 개방형 직위 추가 지정 : 광주소년원·춘천소년원 의무과장, 치료감호소 일반진료과장, 성동구치소·인천구치소·서울남부구치소 의료과장, 여수출입국관리사무소장 등 7개 직위 - 소속기관 관할구역 변경 : 대전보호관찰심사위원회, 대전보호관찰소, 위치추적대전관제센터 및 대전출입국관리사무소의 관할구역란에 세종특별자치시 추가
-
- 03.26
-
(대통령령 제23675호)
- 기관신설 : 대구소년원 대구청소년비행예방센터, 서울소년분류심사원 서울남부비행예방센터, 서울소년분류심사원 서울북부비행예방센터, 서울소년분류심사원 인천비행예방센터 - 기관승격 : 서울북부·서부보호관찰지소의 본소 승격(관찰과,집행과 각각 신설), 울산출입국출장소의 사무소 승격(관리과,심사과 신설) - 출입국외국인본부 과명칭 변경 : 체류조사과→이민조사과, 사회통합과→이민통합과 - 보조기관 신설 : 제주출입국관리사무소 조사과
-
- 10.10
-
(대통령령 제23211호) (법무부령 754호)
- 본부 대변인실 : 온라인대변인 지정·운영 - 기관신설 : 위치추적대전관제센터,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서울역출장소 - 기관승격 : 김포출입국출장소의 사무소 승격(심사과 신설) - 보조기관 이관 : 경북직업훈련교도소, 경북북부 제3교도소 분류 심사과를 각각 대구구치소, 청주여자교도소로 이관
-
- 09.01
-
(대통령령 제23105호)
- 창원지방검찰청 마산지청 신설
-
- 05.04
-
(대통령령 제22917호) (법무부령 제740호)
- 기구신설 : 고양·구미 출입국출장소, 서울남부구치소(舊 영등포구치소) 시설과 - 명칭변경 : 대덕소년원→대전소년원, 영등포구치소·교도소→ 서울남부구치소·교도소, 출입국관리기관 의무실→의무과 - 조직개편 : 본부 법질서담당관·법교육팀→법질서선진화과(통폐합), 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입국심사국·출국심사국→지원국·심사국, 출국1~7과·입국1~7과→심사1~12과·심사지원과·입국재심과 - 직위조정 : 부산출입국관리사무소장(개방형 직위→공모직위), 본부 홍보담당관 개방형 직위 지정
-
- 10.18
-
(대통령령 제2245호) (법무부령 제723호)
- 인천출입국관리사무소 안산출장소, 대전출입국관리사무소 천안출장소 신설
-
- 10.04
-
- 부산보호관찰소 청사 이전 : 부산시 강서구 대저로89번길 11호
-
- 08.02
-
(대통령령 제22313호) (법무부령 제712호)
- 기구신설 : 형사사법공통시스템운영단,인천보호관찰소서부지소,청주보호관찰소 영동지소, 의정부교도소 민원과,인천공항출입국관리사무소 정보분석과,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이민특수조사대 신설 - 명칭변경 : 청송교도소→경북북부제1교도소, 청송제2교도소→경북북부제2교도소, 청송제3교도소→경북북부제3교도소, 청송직업훈련교도소→경북직업훈련교도소, 마산교도소→창원교도소 , 마산출입국관리사무소→창원출입국관리사무소, 대전출입국관리사무소 대산출장소→대전출입국관리사무소 서산출장소